언론이 본 동아
-
[국제신문/인문학 칼럼] 폭력은 인간의 숙명인가 - 이국환 문예창작학과 교수
2014.07.04 조회수 2058
[국제신문/인문학 칼럼] 폭력은 인간의 숙명인가 - 이국환 문예창작학과 교수폭력은 불사신과 같아 넘어서는 게 인간의 길피해자 슬픔 빌미로 희생양 단죄하기 바쁜 국가야말로 경계 대상이국환문예창작학과 교수 살아오면서 여러 유형의 폭력을 경험했다. 폭력의 기억 속에는 습관적 폭력을 행사한 교사들이 먼저 떠오른다. 교칙을 어긴 이유는 물론이고 성적이 떨어져도 맞았고, 올라도 더 오르라고 맞았으며 체육 시간에 줄을 잘못 섰다고 맞았고, 점심시간 이후 음악감상 시간에 졸다가도 맞았다. 이후 대학에 진학하여 어설프게 데모 대열에 휩쓸렸다 잡혔을 때 곤죽이 되도록 나를 폭행했던 자는 한동안 악몽 속에 주연으로 출연했고, 비슷한 경험을 군 복무 중에도 했다.지금도 가끔 주말 나들이 길, ...
-
[리더스 경제신문 / 칼럼] - 유영현 동아대학교 의과대학교수 해부학
2014.06.27 조회수 1407
[리더스 경제신문 / 칼럼]- 유영현 동아대학교 의과대학교수 해부학1. 낭만에 대하여 [기사보기]2. 1453년 5월 [기사보기]3. 저는 이슬람 의학입니다 - 삶의 문턱에서 [기사보기]4. 생사의 간극, 100만분의 2 밀리미터 [기사보기]
-
[리더스 경제신문 / 칼럼]
2014.06.27 조회수 243
[리더스 경제신문 / 칼럼]- 유영현 동아대학교 의과대학교수 해부학1. 낭만에 대하여 [기사보기]2. 1453년 5월 [기사보기]3. 저는 이슬람 의학입니다 - 삶의 문턱에서 [기사보기]4. 생사의 간극, 100만분의 2 밀리미터 [기사보기]
-
[국제신문/기고] 제7대 부산시의회에 바란다 - 최우용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부산시의회 자문위원
2014.06.26 조회수 1839
[국제신문/기고] 제7대 부산시의회에 바란다- 최우용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부산시의회 자문위원최우용법학전문대학원 교수,부산시의회 자문위원 오는 7월 1일부터 제7대 부산시의회 당선자들의 임기가 시작된다. 지방의회가 30년 만에 부활한 것이 1991년이니, 이제 우리 지방의회도 청년기를 맞이하게 된 것이다. 부산시의원의 경우 전체 47명의 의원 중 초선이 27명으로, 이들의 신선한 활약이 기대되는 반면 지역구에서 전원 새누리당 후보가 당선돼 시의회가 자칫 집행부의 거수기에 지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청년기에 접어 든 부산시의회에 제도적, 정치적, 경제적으로 많은 과제들이 주어져 있겠지만 다음 3가지는 이번 제7대 시의회가 특히 중점을 두고 의정활동을 ...
-
동아대 출신 송옥렬 박사, 세계 최고 권위 셀(Cell)지에 논문 게재
2014.06.24 조회수 2388
동아대 출신 송옥렬 박사, 세계 최고 권위 셀(Cell)지에 논문 게재송옥렬 박사.브룰리 궤양의 무통증 원인에 대한 메커니즘 밝혀교육부 생물학연구정보센터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에 소개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출신 송옥렬 박사(사진)의 논문이 지난 19일 발행된 셀(Cell․논문인용지수: 31.957)지에 게재됐다. 세계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학술지 셀은 사이언스(Science), 네이처(Nature)와 더불어 자연과학 분야의 3대 저널로 인정받고 있다. 송 박사가 공동 제1저자로 발표한 논문 「마이코박테리아 독소의 안지오텐신 경로를 통한 브룰리 궤양의 무통증 유도(Mycobacterial Toxin Induces Analgesia in ...
-
동아대 출신 송옥렬 박사, 세계 최고 권위 셀(Cell)지에 논문 게재
2014.06.24 조회수 272
동아대 출신 송옥렬 박사, 세계 최고 권위 셀(Cell)지에 논문 게재송옥렬 박사.브룰리 궤양의 무통증 원인에 대한 메커니즘 밝혀교육부 생물학연구정보센터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에 소개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출신 송옥렬 박사(사진)의 논문이 지난 19일 발행된 셀(Cell․논문인용지수: 31.957)지에 게재됐다. 세계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학술지 셀은 사이언스(Science), 네이처(Nature)와 더불어 자연과학 분야의 3대 저널로 인정받고 있다. 송 박사가 공동 제1저자로 발표한 논문 「마이코박테리아 독소의 안지오텐신 경로를 통한 브룰리 궤양의 무통증 유도(Mycobacterial Toxin Induces Analgesia in ...
-
[국제신문/세상읽기] 옴니채널과 물류 변화 - 최형림 항만물류시스템학과 교수
2014.06.24 조회수 1661
[국제신문/세상읽기] 옴니채널과 물류 변화- 최형림 항만물류시스템학과 교수최형림항만물류시스템학과 교수소비자의 구매형태가 변화하고 있다. 소비자는 인터넷, SNS, 모바일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 제품에 대한 많은 정보를 획득하게 되고, 이는 소비자를 더욱 똑똑하게 만들고 있다. 대표적으로 최근에 쇼루밍족(showrooming)과 역쇼루밍족(reverse showrooming)이 늘어나고 있다. 오프라인에서 제품을 확인한 후 온라인에서 최저가격으로 제품을 구매 하는 사람을 '쇼루밍족'이라 하고, 반대로 온라인에서 제품을 검색한 후 오프라인에서 구매하는 사람을 '역쇼루밍족'이라고 한다. 이러한 고객과 구매형태의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단순하게 다양한 채널을 운영...
-
[국제신문/과학에세이] 성형에의 욕망, 그리고 비대칭의 조화 - 김정균 화학과 교수
2014.06.24 조회수 1641
[국제신문/과학에세이] 성형에의 욕망, 그리고 비대칭의 조화- 김정균 화학과 교수김정균화학과 교수자연에 존재하는 물질 중 관찰하고자 하는 대상이 점이나 선 그리고 면과 같은 요소를 통해 이동해 이동 전과 꼭 같아 보이면 이 둘은 "대칭성이 있다"고 한다. 예를 들면 거울 속의 나는 거울이라는 면을 통해 대칭이다. 이런 대칭성에 관한 개념은 예술과 수학 그리고 과학과 기술 분야에서 흥미 있게 응용되는 주제 중 하나이며 인간은 여러 가지 대칭적 요소들과 항상 접하며 살고 있다. 송골매의 양쪽 날개, 막 땅 위로 솟아오르는 쌍떡잎식물, 우리 얼굴의 좌우 등 대칭성이 있어 매력적인 것들은 얼마든지 존재하며 인위적 구조물도 대칭적 요소가 있으면 더 아름다워 보인다...
-
[부산일보/오피니언] 자, 이젠 월드컵이다! - 하승태 동아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2014.06.23 조회수 1867
[부산일보/오피니언] 자, 이젠 월드컵이다! - 하승태 동아대 신문방송학과 교수하승태신문방송학과 교수이제 본격적인 월드컵 기간이다. 때가 때이니만큼 월드컵 관련 기사들을 중심으로 부일읽기에 나서보고자 한다.지난 12일 자 신문에서는 2014 브라질 월드컵 개막을 하루 앞두고 4·5면을 모두 월드컵 관련 소식에 할애했다. 세월호 참사 이후 6·4 지방선거가 끝나고 여러 가지로 심란한 국민적 정서를 조금이나마 위로해주기에 적절한 기사가 아닌가 생각한다.하지만 정작 월드컵 관련 소식으로서는 약간 부족한 느낌이다. 특히 5면은 전면을 월드컵 경기일정 일러스트로 채움으로써 읽을거리가 사실상 없었다. 차라리 대진 일정은 조금 작은 도표로 처리하고 월드컵 예측...
-
동아대 허영애 동문,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 대학교 교수로 임용
2014.06.23 조회수 2434
동아대 허영애 동문,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 대학교 교수로 임용고급철근콘크리트구조설계, 고급구조해석 등 강의허영애 교수 “따뜻한 조언을 아끼지 않으셨던 교수님들의 훌륭한 가르침에 감사”허영애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학교 교수동아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한 허영애(사진) 씨가 최근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 대학교 교수로 임용됐다. 지난 2001년 2월 동아대 건축공학과를 졸업한 허 교수는 최우수 성적 장학생으로 동아대 건축공학 석사를 수료하고,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삼성중공업 조선해양연구소 책임연구원과 서울대학교 건축공학과 연구원 등을 지냈으며, 유럽화재폭발정보단체, 안전행정부 산하 화재폭발안전포럼 등 유명한 학회의 회원 및 ...